본문 바로가기
728x90

비즈 & 테크48

재계에서 퇴출된 기업들의 쇄락 패턴 어떤 요인이 기업을 무너뜨렸을까? 과거에 한때 시장을 석권하며 잘 나가던 기업들이 갖가지 이유로 재계에서 사라졌다. 쇠퇴한 기업들은 무리한 사업 확장이나 동업 결렬, 집안싸움이나 세무사찰 등 그 원인도 다양하다. 어떤 원인이 기업을 무너뜨렸는지 알아보며 투자 등을 위해 관심을 기우리고 있는 기업(또는 그룹)이 있다면 그런 징조 여부가 감지되고 있는 가를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사라진 케이스 1945년 10월 사탕 · 캐러멜 등의 생산업체인 해태제과합명회사로 출발하여 성장한 해태제과그룹은 무리한 사업 확장과 과다한 채무로 쓰러진 예다. 해태제과는 산하에 15개 계열사와 1만 4천명의 종업원을 거느린, 1996년 말 자산 3조4천억 원, 매출 2조7천억 원의 재계 서열 24위의 탄탄한.. 2022. 6. 6.
무엇이 테슬라와 같은 주목을 받으며 미래 먹거리로 성장할 수 있을까? 성공투자를 위한 유망분야 점검 미래에 유망하다고 자주 세간에 오르내리는 분야는 전기자동차 및 관련 배터리, 자율주행시스템, AI, 메타버스 그리고 NFT 등일 것이다. 그런데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있어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가 미래를 위한 투자분야를 찾을 때 어떤 것이 유망한 것인지 고심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미래 단상 2028년6월8일 목요일의 아침이 밝았다. 경쾌한 음악소리와 함께 침대가 반쯤 올라와서 잠을 깨운다. 그러자 비서도우미 (시종)로봇이, 단추를 누르면 자동으로 치약이 나오는 전동칫솔과 전기면도기를 들고 다가오면서 하루 일정을 설명한다. 그런데 만일 잠이 덜 깨었거나 일정을 듣느라 꾸물거리며 침대에서 3분이내에 떠나지 않으면 침대가 .. 2022. 6. 3.
좋은 땅을 잘 사는 방법. 이런 땅을 사야 돈을 번다. 부동산 투자에는 기본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주거용 건물, 빌딩이나 상가와 같은 부동산 등을 많이 염두에 두고 있는데 이제는 토지에도 관심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맛을 아는 것처럼 땅도 일단 사보아야 땅에 대한 매력을 깊이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사보고 팔아보고 재미보고 해본 사람이 또 사고팔고 하는 것이다. 땅은 어려울 때 재기의 발판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신이 자금의 여우가 있을 때 땅을 사두지 않는다면 두고두고 후회할 수도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땅을 어떻게 사야 후에 이를 통해 부를 축적할 수 있을지를 알아보자. 1. 주택 옆에 붙은 땅은 사지 마라. 이런 유형은 투자에는 매력 없는 땅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2022. 5. 25.
에어비앤비 창업비화와 생존전략 누구나 생각할 수는 있으나 이것을 실행할 의지는 누구나에게 있지 않다 뜬금없이 튀어나온 사업 아이디어 때는 2007년. 미국 동부에 있는 로드 아일랜드 디자인 스쿨(RISD)을 갓 졸업한 청년 '조 게비아'는 자신의 학교 동문 친구였던 '브라이언 체스키'에게 같이 사업을 하자고 연락을 했다. 브라이언이 조 게비아와 쿵짝이 잘 맞았던 것 같았고 둘이 함께 한다면 뭔가 이뤄질 것이란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직장을 다니고 있던 브라이언은 다 때려 치고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간다. 둘은 샌프란시스코에서 방을 하나 빌려서 창업을 같이 해 보자고 논의를 시작했는데 바로 그 주에 예기치 못한 일이 터진다. 집 주인이 월세를 20%나 올려 버린 거다.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고민을 하다가 브라이언은 엉뚱하게 미국 산업디.. 2022. 5. 19.
구글과 메타버스(구 페이스북)의 전략 과연 어떠한 방향으로 세계적인 기업들은 변신을 꾀하고 있는가 구글의 전략 구글은 최근 마운틴뷰 야외 공연장에서 개발자를 위한 연례행사인 '구글 I/O 2022'을 열고 엄청나게 무수히 많은 소프트웨어들을 선보였다. 그 뒤에 알고보니 신제품은 물론 새로운 서비스와 업데이트를 포함하면 100가지는 될 것이라고 한다. 구글은 지구적인 검색 업체이라는 것을 누구나 인정하는데 그 중심은 단연 검색이다. 그동안 텍스트에서 음으로 그리고 이후 이미지로 검색 영역을 확장해 왔는데 올 들어 이들을 만능 검색으로 묶어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것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장면 탐색(scene exploration) : 사물을 검색기능하는 기능 2. 내 근처(near me) : 내 주변 상품을 먼저 찾아주는 .. 2022. 5. 17.
S의 경고와 돈나무 언니가 추천한 종목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어떤 스탠스를 취하여야 할까? 지난 22년 4월에 개최된 밀컨 글로벌 컨퍼런스 2022에 참석한 월스트리트 주요 투자자들이 스태그플레이션을 경고하며, 반도체 부족 문제가 23년까지 지속될 것이란 의견도 제시했다. 그동안 상당수 전문가들이 현재 경제 상황을 이른바 슬로우플레이션(slowflation)이라고 분석을 했는데, 이제는 고용·산업 생산·소득에도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바로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조짐이라는 진단인 것이다. 밀컨 글로벌 컨퍼런스(Milken Institute Global Conference)는 밀컨연구소가 1998년부터 매년 4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여는 행사로, '미국판 다보스포럼'으로도 .. 2022. 5. 5.
일론머스크의 1달러프로젝트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를 닮은 일론머스크의 성공원동력 1. ‘1달러프로젝트’의 배경 일론 머스크는 어릴 적부터 책을 많이 읽었다. 책을 통해 스스로 배우는 것에 익숙했고, 1981년 10살 되던 해에 코모도어 VIC-20라는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컴퓨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2살 때에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스스로 익혀 블래스터(Blastar)라는 베이직 기반의 비디오 게임을 만들었다. 이 게임은 머스크가 공상 과학 소설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가상공간 게임으로, PC와 사무 기술이라는 잡지 회사로부터 500달러를 받고 소스코드를 공개하기도 했다. 머스크는 다른 아이들과 달리 뛰어난 기억력을 가지고 있었고, 친구들과 노는 것보다 책을 읽는 것을 좋아했다. 그러다 보니 주변 친구들에게 소위 왕따를 당하기도 했.. 2022. 4. 29.
가치란 손에 잡히지 않는 것이다 손에 잡히지 않는 기업의 가치란 무엇을 말하는 걸까 주식투자에 대해 참고할 만한 자료가 있어 공유해보고자 한다. 미국에서 주식투자관련 블로그를 운영하고있는 블로거 데이비드김의 아티클이다. 미국주식 투자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1. 기업의 가치와 그 가치를 확인하는 방법들이 그리 변화하지는 않았지만 기업들이 발표하는 재무제표에는 파악하기 어려운 기업들의 가치가 숨겨져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 예로서 애플의 지적재산권, 아마존의 문화, 구글의 엔지니어 숫자 등이다. 이에 대한 데이비드 킴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 2. 손에 잡히는 것들을 만드는 회사들도, 종종 그 기업가치는 손에 잡히지 않는 것들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들이 많다. 가치라는 것은 물질에 깃든 것이 아니라, 그 물질들이 어떻게 조합되고 사용.. 2022. 4. 14.